전시명ㅣ Life and Rebirth of the Soul : 생명력의 영속성 작가ㅣ 윤문영
전시 기간 ㅣ 2025.11.25.(Tue)- 11.30.(Sun) 소개ㅣ 작가 윤문영은 자신의 핵심 주제인 자연의 생명력(SOUL)을 동양화의 창작 원리인 ‘형사(形似)’와 ‘신사(神似)’에 접목시켜, 나무(木)라는 상징적 매개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즉, 탄생‧소멸‧재생으로 이어지는 생명의 순환을 나무라는 형식과 내용 안에 담아, 작가의 심상과 이론을 시각적으로 풀어내고자 한 것이다.
작가는 눈에 보이는 자연물인 ‘나무’를 소재로 삼아, 우주의 모든 생명체가 탄생하고 사라지며 다시 태어난다는 추상적 사고(神似)를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한다. 이러한 생각은 작가만의 주관적 해체와 재해석, 즉 신사적 여과 과정을 거쳐 나무의 추상적 이미지로 재구성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나무의 형상을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했다. 첫 번째는 동양 미학의 ‘형사’에 기반한 시각적 재현으로, 수묵 기법을 사용해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생명력의 탄생’이라는 개념을 전달한다.
두 번째는 ‘신사’의 방식으로, 소멸과 재생의 의미를 담는다. 한 번 소멸한 나무에서 다시 태어난 닥지를 얇게 겹쳐 릴리프(relief) 형태로 구성하여, 재생된 생명력과 작가만의 추상적 관념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번 전시는 재현(形似)과 추상(神似)을 결합한 방식으로 자연의 강한 생명력(SOUL)을 탐구한다. 나무라는 자연물을 통해 펼쳐지는 작가의 새로운 시도가 다양한 관람자들에게 깊은 내적 울림으로 전해지길 기대한다.
전시 기간 ㅣ 2025.11.18.(Tue)- 11.23.(Sun) 소개ㅣ깊은 어둠을 품은 표면 위에 천천히 번져가는 빛. 손수경 작가의 옻칠 작업은 그 고요한 흐름을 기록하는 일종의 ‘침묵의 시간’이다. 수십 번의 칠과 말림을 반복하며 쌓인 층들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미세하지만, 시간이 겹겹이 응축된 깊이를 만들어낸다.
작가는 번쩍이는 광택이나 빠른 효과를 좇지 않는다. 대신 옻이 스스로 굳고, 스며들고, 다시 숨을 고르는 자연스러운 호흡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렇게 완성된 표면은 빛을 직접적으로 반사하지 않고, 마치 안쪽에서 잔잔히 우러나듯 은은한 명도를 띤다. 이는 단순한 색의 표현을 넘어서, 작가가 마주한 내면의 정적과 묵묵한 집중의 흔적을 드러낸다.
‘Silence’는 바로 그 정적에 대한 탐구이다. 고요는 비어 있지 않다. 옻칠이 마르는 동안의 긴 기다림, 반복되는 손의 리듬, 표면에 스며든 시간의 밀도 모두가 이 침묵을 채운다. 관람자는 작업 속에 숨겨진 이러한 호흡을 따라가며, 시각적 소음이 사라진 자리에서 스스로의 감각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빛의 속삭임, 표면의 떨림, 반복의 힘. 이번 전시는 그 조용한 울림을 마주하는 자리이자, 우리 안의 미세한 감정들이 다시 깨어나는 순간을 제공한다.
작가노트 난각 한 조각 한 조각이 달항아리와 질그릇을 이뤄갈 때 나의 기쁨도 고요도 소망도 핀셋끝 매달린 난각 한조각의 떨림으로 녹아 들어간다. 더 이상 무엇을 증명하지 않아도 내면의 충만함이 중요한 삶.. 또한 하나씩 내려놓기 시작했을때 나 자신이 조금 더 괜찮은 사람처럼 느껴졌고, 더 가치 있는 존재가 된 것만 같았다.
Curatorial Statement On a surface that holds a quiet darkness, light slowly spreads. The lacquer works of artist Shon, Soo-Kyung record this gentle movement—an accumulation of moments that form a kind of silent time. Through countless cycles of coating and drying, each layer builds upon the last, creating a depth so subtle it is almost imperceptible, yet dense with time.
The artist does not pursue dazzling sheen or instant effects. Instead, she accepts the natural rhythm in which lacquer hardens, seeps in, and pauses to breathe again. The resulting surface does not reflect light sharply; rather, it emits a soft luminosity as though it rises from within. This is not merely an expression of color but a manifestation of the artist’s inner stillness and the quiet concentration embedded in the work.
Silence is an exploration of that stillness. Silence is not empty. It is filled with the long waiting as lacquer dries, the steady rhythm of repeated gestures, and the density of time absorbed into the surface. As viewers trace these breaths and intervals, they find themselves listening more closely, freed from the noise of the visual world.
Shon, Soo-Kyung’s work speaks without words—through the whisper of light, the subtle tremor of the surface, and the power of repetition. This exhibition offers a space to encounter that quiet resonance and to awaken the delicate emotions that lie within us. Artist Note As each fragment of eggshell comes together to form a moon jar or an earthenware vessel, my joy, my stillness, and my hopes dissolve into the subtle tremor held at the tip of my tweezers. A life where inner fullness matters more than proving anything—and as I began to set things down, one by one, I started to feel like a slightly better version of myself, as if I had become someone a little more worthy.
Address ㅣ 1F, 45, Jahamun-ro 38-gil, Jongno-gu, Seoul
전시 기간 ㅣ 2025.11.5.(Wed)- 11.16.(Sun) 소개ㅣ신란숙 작가의 작품은 빛이 겹겹이 쌓여 만들어낸 시간의 결이다. 수차례 덧입힌 옻칠이 번지며, 표면은 한없이 부드럽고 깊은 울림을 품는다. 그 빛은 강렬한 태양빛이 아니라, 어둠 속에 은은히 스며드는 달빛이다.
달빛은 모든 경계를 흐리게 만든다. 밝음과 어둠, 실재와 기억이 서로에게 스며들며 조용한 융합의 세계를 펼친다. 작가는 그 여백 속에서 빛과 마음이 맞닿는 지점을 포착한다. 화면에 드러나지 않은 감정의 결, 말로 설명되지 않는 내면의 흔적이 조용히 번진다.
작가에게 달항아리는 달빛이다. 완벽하지 않은 균형, 미묘한 비대칭은 오히려 인간적인 온기를 품는다. 가까이 다가서면 미세한 흔적과 균열이 마치 피부처럼 살아 숨 쉬며, 시간과 기억의 감각을 불러낸다.
신란숙의 회화는 그렇게 시각을 넘어 감각을 깨운다. 빛과 소리, 정서가 서로 스며들어 마치 눈으로 듣고 귀로 보는 듯한 경험을 이끈다. 그가 그려낸 세계는 달빛처럼 고요하고, 은은하며, 마음 깊은 곳을 천천히 적신다.
보이지 않아도, 세상에는 여전히 빛이 있다. 그 빛은 조용히 마음의 결을 어루만지고 내면의 온기를 드러낸다. 달항아리의 곡선 속에서 나는 그 보이지 않는 빛의 숨결을 찾았다. 겹겹이 쌓인 옻의 시간과 기다림 속에서 빛은 더 깊어지고, 스스로를 잃지 않는다. 이번 전시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아름다움, 그리고 마음속에서 은은히 피어나는 빛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 달빛이 당신의 마음에도 고요히 머물길 바란다.
Curatorial Statement
Shin Ransook’s paintings are the grain of time, woven through layers of light.
Repeated coats of lacquer spread and merge, rendering the surface endlessly soft and resonant. Her light is not the fierce radiance of the sun, but the gentle glow of moonlight seeping into darkness.
Moonlight blurs all boundaries. Light and shadow, reality and memory gently dissolve into one another, unfolding a world of quiet convergence. Within that stillness, Shin captures the moment where light and emotion meet. Unspoken traces of feeling, subtle rhythms of the inner self, quietly permeate the surface.
For the artist, the moon jar embodies the very essence of moonlight. Its imperfect balance and delicate asymmetry hold a tender sense of humanity. Up close, faint cracks and traces seem to breathe like skin, awakening the senses of time and memory.
Shin Ransook’s paintings transcend the visual. Light, sound, and emotion flow together, evoking an experience as if one could see with the ears and listen with the eyes. The world she unveils is tranquil, luminous, and slowly seeps into the deepest parts of the heart-like moonlight itself.
Artist Note
Even when unseen, light remains. It quietly touches the texture of the heart and reveals the warmth of being. Within the curve of the moon jar, I seek the breath of invisible light. Through layers of lacquer and time, the light deepens—never lost, only more profound. This exhibition reflects the beauty of what cannot be seen, and the quiet radiance that lives within us. May the moonlight gently rest upon your heart.
Address ㅣ 1F, 45, Jahamun-ro 38-gil, Jongno-gu, Seoul
전시 기간 ㅣ 2025.10.21.(Tue)- 11.2.(Sun) 소개ㅣ‘Hidden Faces’ 는 김경원 작가의 감정의 이면과 인간의 내면을 탐색하는 시선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 수없이 많은 표정을 지으며 살아간다. 그러나 그 표정들은 종종 감춰진 감정의 그림자, 혹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가면이 되기도 한다. 작가는 이러한 이중적인 얼굴들을 마주하며 ‘타인의 눈 속에서 나를 보는 경험’을 회화로 풀어낸다.
작품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기린은 작가 자신의 자화상과 같다. 예민하고 섬세한 감각으로 세상을 바라보지만, 동시에 불안과 긴장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다. 눈을 감은 기린의 모습은 불면에서 벗어난 평안함, 경계 없는 안정의 순간을 상징한다. 반면, 표범이나 치타 같은 육식동물들은 내면 깊숙이 잠재된 야성적 본능과 생의 에너지를 드러낸다.
김경원 작가는 강렬한 색감과 다양한 혼합 매체를 통해 동물의 표정과 포즈 안에 인간의 감정을 투영한다. 그 속에는 분노와 슬픔, 고요와 평온, 긴장과 해방이 교차한다. 작가에게 동물을 그린다는 것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감정을 회복하고 자신을 마주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는 감정을 억누르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내면의 얼굴을 비추는 거울이 된다. 작품 속 동물의 눈빛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발견하고, 잊고 있던 감정의 온도를 다시 느끼길 바란다.
Fresh, 60x73cm, Mixed media on canvas, 2025푸른 표범, 24x30cm, Mixed media on panel, 2025밤공기, 60x45cm, Mixed media on panel, 2025
작가노트 이번 개인전 ‘Hidden Faces – 그들의 눈 속에 나를 보다’ 는 감춰진 얼굴과 내면의 감정을 마주하는 시선에서 출발했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 익숙하게 만들어진 표정으로 살아가며, 진짜 감정을 잊고 지낼 때가 많다.
내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기린은 나의 자화상과도 같다. 예민하고 긴장된 존재이지만, 작품 속에서 눈을 감은 기린은 비로소 안정과 평화를 느낀다. 그에 반해 표범이나 치타는 내 안의 야성적이고 강인한 면모를 상징한다. 이 동물들은 감정의 양면성과 인간 내면의 복합성을 드러낸다.
나는 동물을 그릴 때 자유롭고 해방감을 느낀다. 강렬한 색과 다양한 재료로 동물 속에 숨겨진 인간의 자화상을 표현한다. 이 전시를 통해 관객들 또한 잊고 있던 감정의 다양성과 표정의 생동감을 다시 느껴보길 바란다.
Title ㅣHidden Faces- Seeing Myself Through Their Eyes
ArtistㅣKim, Kyung-Won Exhibition Period ㅣ2025.10.21.(Tue)- 11.2.(Sun) Curatorial Statement 'Hidden Faces' originates from Kyungwon Kim’s exploration of emotion and the human psyche. In our daily lives, we wear countless expressions to adapt and belong. Yet behind them lie concealed emotions and protective masks. Through painting, Kim visualizes the experience of seeing oneself reflected in the eyes of others. The recurring image of the giraffe serves as the artist’s self-portrait—sensitive, perceptive, yet living within quiet tension. With its eyes closed, the giraffe embodies serenity and release, a moment of rest beyond wakefulness. In contrast, leopards and cheetahs symbolize the instinctive, untamed energy that resides deep within.
Using vibrant colors and diverse mixed media, Kim projects human emotions onto animal forms. Within her works coexist anger and sorrow, stillness and calm, tension and liberation. For the artist, painting animals is not an act of depiction, but one of emotional restoration and introspection.
This exhibition invites viewers to confront their own hidden emotions. Through the gaze of the animals, one may rediscover the subtle warmth and vitality of feelings long forgotten.
Address ㅣ 1F, 45, Jahamun-ro 38-gil, Jongno-gu, Seoul
전시 기간 ㅣ 2025.10.10.(Fri)- 10.19.(Sun) 소개ㅣ큰 길을 벗어나 골목으로 들어서면, 낡은 벽의 거친 숨결과 바랜 페인트가 무채색의 풍경을 만든다. 무심히 놓인 사물들, 작은 창문, 건물에 붙은 작은 기계들, 바닥을 뚫고 피어난 식물들은 삶의 유머와 생기를 품고 있다.
양은숙 작가는 골목길에서 마주하는 소소한 장면들 속에서 이야기를 발견한다. 작은 창문 너머를 가득 채우는 사람들의 삶과 척박한 공간에도 꽃을 피우고 쉼터를 마련하는 이웃의 손길 속에 함께 들어가 숨을 고른다.
‘소소한 풍경’은 무심히 스쳐가는 장면 속에서 발견한 기쁨과 위안을 나누고자 하는 순간들의 기록이다.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피어나는 작고도 빛나는 순간들을 마주하며, 소박한 즐거움과 미소를 마주하길 바란다.
작가노트 대로를 벗어나 골목으로 들어서면, 오래된 집들의 벽에서 느껴지는 투박한 질감과 색이 바랜 페인트로 인해 거리는 온통 무채색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눈에 띄는 장면들이 있다. 무심히 놓여진 사물들의 선명한 색감, 벽과 지붕 위에 자리한 에어컨 실외기와 계량기, 작은 창문, 건물에 드리워진 그림자, 그리고 문 앞에서 정성스레 가꿔진 화분이나 바닥을 뚫고 자라난 식물들 속에서 유머와 생명력을 느낀다.
작은 창문은 언제나 호기심을 자극한다. 창이 컸다면 결코 들여다보지 않았을 터인데, 그 작은 창 너머의 삶이 궁금하다. 좁은 공간에서도 꽃을 키우고, 쉼을 마련하는 이들의 부지런한 손길 속에 나 또한 들어가 함께 머무른다.
무채색의 골목길에서 마주하는 소소한 즐거움과 유머는 지루한 일상 속에서도 작은 기쁨을 찾는 우리의 삶과 닮아 있다. 나의 그림 또한 그러하길 바란다. 관람하는 이들에게 소박한 웃음과 따뜻한 위안이 되기를 희망한다.
Title ㅣ Everyday Landscapes
ArtistㅣEunsook Yang
Exhibition Period ㅣ2025.10.10.(Fri)- 10.19.(Sun)
Curatorial Statement Stepping away from the main road into the alleys, the rough texture of old walls and faded paint form a muted landscape. Yet within this setting, casually placed objects, small windows, machines attached to buildings, and plants breaking through the ground bring humor and vitality to everyday life.
Artist Eunsook Yang captures stories in these modest scenes. Her work reflects the lives glimpsed through narrow windows and the quiet gestures of neighbors who create moments of beauty and rest even in unyielding spaces.
Ordinary Landscapes presents a record of such moments-sharing the joy and comfort found in passing scenes, and inviting viewers to discover small but radiant pleasures within the rhythm of daily life.
Artist Statement
When stepping off the main road into the alleys, the rough textures of old walls and the faded tones of paint render the streets almost monochrome. Yet within this muted setting, certain details stand out-the vivid colors of casually placed objects, air conditioner units and meters attached to walls and rooftops, small windows, shadows cast across buildings, and plants either carefully tended in pots or pushing through the ground. These elements reveal a sense of humor and vitality.
Small windows have always stirred my curiosity. If they were larger, I might have passed them by, but their modest frames invite me to imagine the lives beyond. In the patient hands that nurture flowers and create spaces of rest even within narrow confines, I too find myself pausing and sharing in their presence.
The quiet joys and subtle humor discovered in these gray alleyways mirror our search for small moments of happiness within everyday life. I hope my paintings embody that same spirit-offering simple smiles and gentle comfort to those who encounter them.
Address ㅣ 1F, 45, Jahamun-ro 38-gil, Jongno-gu, Seoul
전시 기간 ㅣ 2025.09.23.(Tue)- 10.05.(Sun) 소개ㅣ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하나의 긴 모험을 시작한다.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기억과 감정들은 때로는 여행처럼, 때로는 낯선 세계처럼 다가와 우리 안에 깊은 흔적을 남긴다. 최지윤 작가의 작업은 이러한 흔적들을 환상적인 장면으로 재해석하여,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며 작품 속 세계를 탐험하도록 이끈다.
이번 전시 '붉은 실타래'에는 왕관을 쓴 아이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작가에게 왕관은 자아의 상징이며, 이는 작품 전반에 흐르는 중요한 주제인 ‘내면의 아이’와 맞닿아 있다. 누구나 마음속에 어린아이를 품고 살아가지만, 성장 과정에서 그 존재는 점차 잊혀지곤 한다. 작가는 엉켜 있는 실타래를 풀어가듯 내면의 아이와 다시 연결되는 여정을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관람자가 자신의 내적 세계를 성찰할 수 있도록 초대한다. 작품 속 붉은 실타래, 새, 새장 등 상징적 요소들은 그 탐색과 해방의 과정을 서사적으로 풀어낸다.
'붉은 실타래'는 단순한 회상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치유와 해방의 여정이며, 일상을 어린아이의 눈으로 바라보게 하는 상징적 여행이다. 관람자 스스로 억눌린 감정과 상처를 치유하며, 순수한 시선으로 일상을 재발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잠시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만의 실타래를 따라가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작은 왕국, 116x91cm, Acrylic on canvas, 2025, 최지윤파도, 91x116cm, Acrylic on canvas, 2025, 최지윤빨간 실타래, 60x50cm, Acrylic on canvas, 2025, 최지윤
작가노트 나는 어린 시절의 기억, 삶 속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과 감정에서 영감을 얻어 그것들을 환상적인 장면으로 재해석하였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은 낯설고 신비로운 장소와 캐릭터들을 다채로운 색과 패턴 속에 펼쳐낸다. 이 캐릭터들은 무언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세계를 탐험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시선과 상상력을 자극한다.
이번 전시의 그림들은 왕관, 새, 붉은 실타래 등의 상징적 요소를 통해, 내면의 아이가 무언가를 찾아 헤매다 마침내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과정을 이야기처럼 담아냈다. 내 작업에서 ‘왕관’은 자아를 상징하며, 내면의 아이와 자아는 내 작업의 가장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 나아가 어린아이의 순수한 시선으로 돌아가 상처를 치유하고, 일상을 여행하듯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작품 속에 녹였다.
우리는 모두 마음속에 어린아이를 품고 살아가지만, 성장하며 그 존재를 잊거나 대화를 멈추곤 한다. 나는 내면의 아이를 다시 마주하는 과정을, 엉킨 실타래를 따라가며 차츰 풀어내는 여정에 비유했다.
Title ㅣ The Red Skein
ArtistㅣJiyun Choi
Exhibition Period ㅣ2025.09.23.(Tue)- 10.05.(Sun)
Curatorial Statement
From the moment of birth, life unfolds as a long journey. The memories and emotions we encounter in daily life leave lasting impressions, shaping our inner world. Artist Jiyun Choi reinterprets these traces into imaginative scenes that invite viewers to explore her work with curiosity and reflection.
'The Red Skein' features the recurring image of a child wearing a crown—a symbol of the self and a key motif connected to the theme of the 'inner child.' Through symbolic elements such as the red skein, birds, and cages, the artist portrays the process of reconnecting with this forgotten inner presence and the journey toward liberation.
More than a recollection, 'The Red Skein' represents healing and renewal. The exhibition encourages viewers to face suppressed emotions, rediscover a sense of innocence, and reflect on their own inner journeys.
Artist Statement
Inspired by childhood memories and everyday emotions, I reimagine them into fantastical scenes filled with vibrant colors and patterns. My works present mysterious places and characters that roam freely, inviting viewers to discover new perspectives and imagination.
This exhibition features symbolic elements such as crowns, birds, and red threads, reflecting a journey of the inner child-searching, confronting, and ultimately finding freedom. The crown represents the self, while the dialogue between the self and the inner child remains a central theme. Through these works, I seek to evoke the innocence of a child’s gaze, offering healing and a sense of everyday life as a journey.
Address ㅣ 1F, 45, Jahamun-ro 38-gil, Jongno-gu,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