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고요한 흐름
 
작가 ㅣ 유유리, 한나래

전시 기간  2025.05.20 (Tue)- 06.01.(Sun)

전시 소개 ㅣ 이번 전시는 조형 작업을 하는 유유리 작가와 한나래 작가의 ‘흐름’에 대한 사유가 만나는 자리다. 유유리 작가는 손끝으로 반복해 쌓아 올린 시간의 밀도로, 한나래 작가는 가슴속을 적시고 흘러간 감정의 비로 자신만의 세계를 직조한다.

유유리 작가에게 자연스러움이란, 우연처럼 보이되 의지의 축적 속에서만 드러나는 본질이다. 손의 리듬과 멈춤의 타이밍을 통해 포착된 그 순간은 질서 속에서 피어나는 명상 같은 아름다움이다. 반복의 고요 속 미세한 긴장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은 작가가 삶을 바라보는 태도와도 닮아 있다.

한나래 작가는 비를 매개로 불안과 슬픔이라는 감정의 층위를 다룬다. 몸 안에 가득 차오르던 비는 이제 유수가 되어 흐르고, 넘치며, 다음 시절로 나아간다. 물고기와 직선, 검푸른 빛들은 작가의 시절들을 상징하며, 고통의 경험이 확장과 위로로 전환되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두 작가의 세계는 서로 다른 감각과 언어로 쓰였지만, 시간의 흐름을 통과하며 삶을 직시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깊은 의지로 공명한다. 이 전시는 불확실한 삶의 곡선 속에서도 멈추지 않고 흘러가는 존재의 태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 또한 작품들을 바라 보며 저 너머로 조용히 흘러가기를 소망한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ㅣ https://moaform.com/q/Q7ellZ

 

(L) 첩첩지중, 600x250mm, 종이, 합성옻칠, 2025 (R) 첩첩지중, 300x350mm, 종이, 합성옻칠, 2025, 유유리
첩첩지중, 600x250mm, 종이, 합성옻칠, 2025, 유유리

 

 

 

 

유유리 작가노트

나는 모든 작업의 바탕에 '가장 자연스러운 것이 가장 아름답다'는 믿음을 두고 시작한다. 그 순간을 찾기 위해, 손으로 반복하며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비롯되는 우연이 자연스러움을 드러내고, 그 결과가 나타나는 순간을 알아차려 멈추는 것에 집중한다. 내가 말하는 '자연스러움'은 자칫 의도된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우연의 선택들이 겹겹이 쌓이지 않았더라면 도달할 수 없는 어떤 지점을 의미한다. 그 지점은 매 순간의 결심과 선택이 모여 지금의 나를 이루는 삶의 모습과도 맞닿아 있다. 질서를 벗어나지 않으며 흐르는 모든 시간은 마치 명상적이다. 반복되는 시간은 때로 고요해 지루할 지경이지만, 그 평온함 위를 흐르는 섬세한 긴장감은 늘 나를 고쳐 세우며,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놓치지 않도록 만든다. 어떤 결과든 그 과정을 거쳤기에 이미 충분하다고 믿는다.

 

첩첩지중 : A Layered Rhythme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첩첩지중> 시리즈는 종이가 본연의 성질로 돌아가, 물에 흩어지고 바람는에 결속되며 다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를 반복하고 조합하는 방식으로 무게감과 입체성을 부여한다. 종이로 만든 조각들이 질서 속에서 자유롭게 반복되고 나열되는 과정을 통해, 아름다움에 다가간다. 그렇게 겹겹이 쌓인 흐름 속에서 문득 멈춰지는 순간이 곧 결과가 된다. 그 순간이야말로 내가 찾는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지점이다. 이 시리즈는 보는 이로 하여금 종이라는 재료에 대한 고정된 인식을 벗어나, 그 낯선 질감과 형태 안에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게끔 유도한다. 반복과 밀도의 변화는 겹겹이 쌓이며 하나의 리듬이 되어 공간을 채워간다.

 

주요 약력

유유리 작가(b.1984)는 주된 소재인 종이를 통해 자신만의 오브제를 선보이고 있다. 다년간 패션 브랜드에서 실험적인 기법과 소재를 탐구하여 손으로 만들어 내는 질감과 형태 속에서 찾은 아름다움을 말하고 있다. 9.5 Gallery_서울(2024)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Text_ure 2024>_CICA 미술관(김포, 2024), <바람이 지나는 길목에서>_헤럴드아트큐브(서울, 2024), <천재화가 천경자를 기리고 그리다>_천경자 탄생 100주년 특별공모전_고흥아트센터(2024, 고흥)이 있다.

 

유수, (왼쪽부터)300×300×240mm, 370×220×340mm, 240×240×280mm, 330×330×380mm, 300×160×170mm 백자혼합토, 채색분장, 2025, 한나래

 

유수, 250x250x210mm, 백자혼합토, 채색분장, 2025, 한나래

 

 

 

한나래 작가노트

 

유수 - '불안과 슬픔의 시절 저 너머로 흘러간다'
나는 작업 안에 나의 여러 시절 이야기들을 담아 놓고는 하는데, 그 중 비를 표현한 '유수' 작업 안에서는 나의 불안과 슬픔의 감정들을 표현하고 있다. 비는 나의 불안과 슬픔을 상징하는 대상이다. 실제로 내리는 비이기도 하고,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감정의 대상이기도 하다. (중략) 폭우가 쏟아지던 회색의 흐린 낮이었다. 너울 너울 넘친 연못의 물줄기를 따라 작은 물고기가 냇가로 흘러 들어갔다.' 동화 같은 장면의 목격이었다. 그 잔상이 지워지지 않고 몇 해를 마음 속에 머물렀다. 사유를 거듭할수록 물고기는 내가 되었다. 비는 고난이었지만 나를 넘치게 만들어 주었다. 그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흘러가는 시절의 의미 같았다. 작고 작은 내 세계가 담긴 시절이 비에 넘치고 확장되었다.
작품에 주로 표현되고 있는 검고 푸른 색상들은 나의 불안과 슬픔을 상징한다. 작품의 표면의 곧은 형태로 쏟아지고 있는 직선들은 유수(비)를 나타내는데, 유수는 불안을 상징하지만, 나의 시절 속에서 자극이 되어 흘러 넘침으로서 그 너머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그런 의미를 담고 있는 유수는 작품 표면에서 패턴 형태의 장식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물고기는 나를 상징하는 매개체로 표현된다.
나는 나의 불안과 슬픔을 바라봄으로써 치유되고 있다고 믿으며 작품을 통해 저 너머로 무사히 흘러가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으려 한다. 그 염원이 나의 아이, 나의 가족에게 전해지길 원한다. 내 주변의 모든 사람에게 확대되기를 바란다. 나는 결국 불안과 슬픔을 딛고 위로를 전하기를 염원한다. 모두들 무섭고 슬프겠지만 저 너머로 무사히 흘러가 좋은 곳에 닿기를.
 

주요 약력

한나래 작가(b.1982)는 갤러리제로룸152_서울(2023, 2024), 갤러리틈_서울(2025)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제로룸 단체전>_갤러리틈(서울, 2023), <유유자적: 자기만의 방>_갤러리 71(서울, 2025) 등이 있다. 공예트렌트페어(2022-2023), 서울디자인리빙페어(2025)에서도 작품들을 선보였다.

 

 

 
 
전시명  'Time Brushing II'
 
작가 ㅣ 권용자

전시 기간  2025.5.13. (Tue)- 5.18.(Sun)

전시 소개 ㅣ 평범한 삶의 순간을 응시하고, 그 내면의 결을 섬세하게 담아내는 권용자 작가의 작품 세계는 오랜 시간에 걸친 탐구와 사유의 산물이다. 작가의 작품 속에는 평범함을 비범하게 바라보는 시각과 침묵 속에서도 울림을 전하는 힘이 담겨 있다. 작가는 서로 다른 재료를 통해 시각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 실험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를 재료에 담으려 색을 입혀 추억을 공유한다. 이 전시를 통해 작가의 시선과 마음에 머물고, 각자의 기억과 감정으로 다시 채색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ㅣ https://moaform.com/q/Q7ellZ
 

Time Brushing II, 42.5×42.5cm, Mixed Media, 2025

 

 

 

주요 약력

권용자 작가는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미술과를 졸업하였다. 주요 전시로는 개인전(청풍갤러리, 갤러리 홍, 하랑갤러리) 외 필로프린트 판화가협회전(2020), 한국멕시코 수교 60주년 기념전(2022), LA 아트쇼(2020), 아트팜스프링스(2020), 취리히국제아트페어(2019) 등이 있다. 오는 202512월에는 아트바젤마이애미비치 기간 동안 개최되는 Red Dot Miami에서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명  'Time Brushing II'
 
작가  권용자

전시 기간  2025.5.13. (Tue)- 5.18.(Sun)

전시 소개  평범한 삶의 순간을 응시하고, 그 내면의 결을 섬세하게 담아내는 권용자 작가의 작품 세계는 오랜 시간에 걸친 탐구와 사유의 산물이다. 작가의 작품 속에는 평범함을 비범하게 바라보는 시각과 침묵 속에서도 울림을 전하는 힘이 담겨 있다. 작가는 서로 다른 재료를 통해 시각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 실험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를 재료에 담으려 색을 입혀 추억을 공유한다. 이 전시를 통해 작가의 시선과 마음에 머물고, 각자의 기억과 감정으로 다시 채색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https://moaform.com/q/Q7ellZ

 

 

 

 

 

주요 약력

권용자 작가는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미술과를 졸업하였다. 주요 전시로는 개인전(청풍갤러리, 갤러리 홍, 하랑갤러리) 외 필로프린트 판화가협회전(2020), 한국멕시코 수교 60주년 기념전(2022), LA 아트쇼(2020), 아트팜스프링스(2020), 취리히국제아트페어(2019) 등이 있다. 

 

전시명  '중첩과 투영'
 
작가  이주헌

전시 기간  2025.5.6. (Tue)- 5.11.(Sun)

전시 소개  이주헌 작가의 유작전으로 '중첩과 투영'이라는 주제로 흐르는 빛에 투영된 자연을 표현한 작품들을 소개한다. 자연이 만들어 내는 미묘한 빛의 조화는 우리의 시각적 감각을 자극한다.  나뭇가지를 뚫고 나오는 밝은 빛과 나뭇잎, 문자와 파문 등 여러 오브제와 자연현상이 오버랩 되면서 온기와 색상이 입혀졌다. 작가는 어둠과 밝음의 사이와 중간지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역설적으로 작품에 표현하였다. 가늘고 구불거리는 선들을 중첩시켜 감정과 내면을 투영하며, 추상적인 화면 속에서 자연의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가 주변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경이로움을 품고 있는 자연을 잊지 않게 해준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https://moaform.com/q/Q7ellZ

`

Image-C-1, 200 x 450mm, Pigment print, 2020
Image-BB-300-Tintii-A, 200x450mm, Pigment print, 2020

 

 

 

 

 

 

 

 

주요 약력

 이주헌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 산업미술학부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전력, 삼풍백화점, 동부그룹 기획실 디자인 홍보를 담당했으며, 주요 전시로는 개인전 3회, 한국그래픽디자이너 13인전 (일본, 도쿄), PLAS 조형아트서울(코엑스), 입체그래픽전 등이 있다. 

 

 

* 모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사진 제공 : 하랑갤러리
* All Images ⓒThe artists, Courtesy of Gallery Harang, Seoul.

 

 

 

전시명  '마음 한 송이'
 
작가 ㅣ 김혜린

전시 기간  2025.4.22. (Tue)- 5.4.(Sun)

전시 소개 감정은 형태 없이 흐른다. 예고 없이 찾아와 마음을 흔든 후, 어느새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감정의 순간들은 머물지 않고 지나간다. 김혜린 작가는 이처럼 붙잡을 수 없는 감정의 결을 담아내기 위해 '꽃'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그 순간의 감정들을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꽃이 피고 지는 생애 속에는 기쁨과 슬픔, 설렘과 허무, 만남과 이별 등의 감정의 전환들이 내포되어 있다. 즉,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감정들이 한 화면 안에 공존하는 양가적인 정서를 드러낸다. 작품 속 꽃들은 우리가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감정처럼 연약하면서도 강인하며, 피어났다가 지고, 다시 피어나기를 반복한다. 불현듯 찾아오는 감정들을 정성스럽게 마주하고자 하는 작가의 진심 어린 시선에 위로받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https://moaform.com/q/Q7ellZ

 

Pale Blue Eyes,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Pale Blue Eyes,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견고한 풍경,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작가 노트  나는 조금 더 단순한 사람이 되었다. 매일 밤 오늘 하루를 무탈히 보낸 것에 안도하고 내일 밤에도 같은 마음이길 바라는 것이 나의 잔잔한 습관이 되었다. 그림을 그릴 때에도 같았다. 그림에 꽁꽁 숨겨놓은 고민보다는 색과 터치에 집중하며 명상하듯 그림을 그리는 겨울과 봄을 보내고 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인지 이제야 알 것 같다. 남은 봄과 여름, 그리고 가을에도 그렇게 그려나가야지 생각한다.

 

주요 약력

김혜린 작가(b.1988)는 숙명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갤러리 더플럭스_서울(2025), 갤러리 도스_서울(2024), 갤러리 너트_서울(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Spring & Spring>_갤러리 이배(부산, 2018), <청작화랑 신진작가 공모전>_청작화랑(서울, 2015), <전국대학미술공모전 수상전>_성산아트홀(창원, 2015), <컨테이너전>_숙명여자대학교 청파갤러리(서울, 2013) 등이 있다. 주요 아트페어로는 <Hong Kong Asia Contemporary Art Show>_Conrad(홍콩, 2018),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_벡스코(부산, 2020, 2019, 2017), <울산국제아트페어>_울산컨벤션센터(울산, 2023) 등이 있다.

 

* 모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사진 제공 : 하랑갤러리
* All Images ⓒThe artists, Courtesy of Gallery Harang, Seoul.

 

 

전시명  '오래 남은 빛'
 
작가 ㅣ 윤여름

전시 기간  2025.4.8. (Tue)- 4.20.(Sun)

전시 소개 해가 저물고 어둠이 완전히 깔리기 전, 세상은 푸른빛으로 물든다. 낮과 밤의 경계에서 짙어지는 푸름은 이 순간만의 고유한 정적과 감성을 불러일으킨다. ‘블루아워(Blue Hour)’는 그 짧지만 깊은 순간을 포착하려는 시도이다.

윤여름 작가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넘어, 빛과 어둠 사이에서 감각이 깨어나는 순간을 탐구한다. 푸른 빛이 감도는 풍경, 몽환적인 분위기,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감정과 기억들. 작가는 회화 작업을 통해 블루아워가 가진 시적인 정서를 표현한다. 푸른빛 속에서 우리는 익숙했던 것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낮의 분주함이 가라앉고, 밤의 깊이가 드리우기 전, 우리는 내면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게 된다. 작가는 삶 속의 수많은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고통조차 의미있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내면의 긍정적 소리를 보여주고자 한다. 고통을 겪은 이후에 세상의 아름다움에 대해 깨닫는 과정을 잔잔한 어둠의 블루톤 너머를 뚫고 다가오는 희미하지만 아련한 빛으로 은유한다. 이는
빛과 어둠 모두가 공존하는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긍정이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https://moaform.com/q/Q7ellZ

빛을 뿌리는 나무, 162.2x130.3cm, Oil on canvas, 2025
빛을 들이키는 바다, 130.3x162.2cm, Oil on canvas, 2024
별을 쏟는 도시, 72.7x60.6cm, Oil on canvas, 2024

 

일렁이는 마음, 116.8x91cm, Oil on canvas, 2025

 

작가 노트 나는 음울하고 어두운 감정과 대비되는 환희의 순간들을, 푸른 색조와 대비되는 노란 빛줄기 등으로 작품에 상징화 하고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이같은 은유 방식을 통해 음울함 속의 희망과 따스한 휴머니즘을 내포하며, 삶에 대한 찬가를 시각화하고 있다. 이는 삶에서 쓰게 되는 수많은 사회적 가면을 지칭하는 페르소나와 그 내부의 인격이 서로 괴리되고 유리된 것에서 느끼는 고통 및 좌절감에 대한 극복 의지를 표명하는 것과 관련된다. 삶 속의 수많은 고통에도 불구하고 삶은 여전히 아름다우며, 고통스러운 세상 또한 유의미하며 아름답다고 말하고 싶은 의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작품에 드러나는 나를 둘러싼 환경(circumstances)과 재조립된 자연 혹은 도시 이미지, 빛나는 볕뉘들은 삶에 대한 긍정적 의미를 담고 있다. 나의 작업은 고통을 겪은 이후의 아름다움에 대해 깨닫는 과정이 총체된 것이다.

 

주요 약력

윤여름 작가(b.1988)는 이화여자대학교 회화판화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이아트 도큐먼트_서울(2018),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_서울(2018), 문화상회 다담_수원(2020), 군산시민예술촌 아트테리토리_군산(2021), 갤러리 더플럭스_서울(2021)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Resize>_Tembusu Art Gallery(싱가폴, 2024), <The 12th Tokyo Genten Art Festival>_도쿄도미술관(일본, 2024), <시각적언어,언어적시각,>_청주시립미술관오창전시관(청주, 2019), <3뉴드로잉프로젝트>_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주, 2018) 등이 있다. <제3뉴드로잉프로젝트장려상>_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12회 도쿄현전-현대미술가협회 도쿄지부 회화부문 신인상 등을 수상했다.

 

* 모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사진 제공 : 하랑갤러리
* All Images ⓒThe artists, Courtesy of Gallery Harang, Seou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