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마음 한 송이'
 
작가 ㅣ 김혜린

전시 기간  2025.4.22. (Tue)- 5.4.(Sun)

전시 소개 감정은 형태 없이 흐른다. 예고 없이 찾아와 마음을 흔든 후, 어느새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감정의 순간들은 머물지 않고 지나간다. 김혜린 작가는 이처럼 붙잡을 수 없는 감정의 결을 담아내기 위해 '꽃'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그 순간의 감정들을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꽃이 피고 지는 생애 속에는 기쁨과 슬픔, 설렘과 허무, 만남과 이별 등의 감정의 전환들이 내포되어 있다. 즉,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감정들이 한 화면 안에 공존하는 양가적인 정서를 드러낸다. 작품 속 꽃들은 우리가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감정처럼 연약하면서도 강인하며, 피어났다가 지고, 다시 피어나기를 반복한다. 불현듯 찾아오는 감정들을 정성스럽게 마주하고자 하는 작가의 진심 어린 시선에 위로받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관람시간  11 am- 5 pm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문의  https://moaform.com/q/Q7ellZ

 

Pale Blue Eyes,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Pale Blue Eyes,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견고한 풍경, 25.8x17.9cm, Acrylic on canvas, 2025

 

 

 

 

작가 노트  나는 조금 더 단순한 사람이 되었다. 매일 밤 오늘 하루를 무탈히 보낸 것에 안도하고 내일 밤에도 같은 마음이길 바라는 것이 나의 잔잔한 습관이 되었다. 그림을 그릴 때에도 같았다. 그림에 꽁꽁 숨겨놓은 고민보다는 색과 터치에 집중하며 명상하듯 그림을 그리는 겨울과 봄을 보내고 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인지 이제야 알 것 같다. 남은 봄과 여름, 그리고 가을에도 그렇게 그려나가야지 생각한다.

 

주요 약력

김혜린 작가(b.1988)는 숙명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갤러리 더플럭스_서울(2025), 갤러리 도스_서울(2024), 갤러리 너트_서울(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Spring & Spring>_갤러리 이배(부산, 2018), <청작화랑 신진작가 공모전>_청작화랑(서울, 2015), <전국대학미술공모전 수상전>_성산아트홀(창원, 2015), <컨테이너전>_숙명여자대학교 청파갤러리(서울, 2013) 등이 있다. 주요 아트페어로는 <Hong Kong Asia Contemporary Art Show>_Conrad(홍콩, 2018),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_벡스코(부산, 2020, 2019, 2017), <울산국제아트페어>_울산컨벤션센터(울산, 2023) 등이 있다.

 

* 모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사진 제공 : 하랑갤러리
* All Images ⓒThe artists, Courtesy of Gallery Harang, Seoul.

 

 
전시명  'My Own Forest'
 
작가 ㅣ 김양미

전시 기간  2025.3.11. (Tue)- 3.23.(Sun)

 
전시 소개 ㅣ'헤테로토피아'는 비현실 공간의 유토피아와는 상대되는 개념이다. 미셸 푸코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다른, 낯선, 혼종된’이란 의미의 헤테로(heteros)와 ‘장소’라는 뜻의 토포스(topos)가 합쳐진 단어로 ‘다른 장소’를 의미한다. 현실에 존재하는 장소이면서 모든 장소 바깥에 있는 유토피아적인 장소를 말한다. 김양미 작가는 현실과 자유로운 상상이 교차하는 공간에서 현실과 이상의 경계를 탐구한다. 아이들의 시선에서 세상과 현실이 만나는 지점에서 가치관과 세계관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것과 익숙하지 않은 것, 실제와 상상 사이의 시각적 여정에 몰입하여 대화와 사색의 공간을 탐닉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작가 노트
낡은 창고 안은 무성한 숲이 되고 나무 막대는 황금 칼이 된다.
누군가는 선장이 되고 누군가는 장군이 된다.

그곳에서 우리는 정돈되고 고정된 사회 속 누군가가 아니라 그 사회와 현실의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상을 하며 나만의 세상을 만든다누구나 한번쯤 기억 속에 박제 되어 시간이 흐르지 않는 공간이다.
(중략)
내 그림 속에 등장하는 배말을 탄 아이숲으로 떠나는 아이숲을 벗어 나는 아이.
모두가 한 공간에 온전히 발붙이지 못하고 무언가를 찾아 떠나는 여행자의 모습이다.
아이들이 바라보는 세상은 현실과는 벗어난 이질적인 공간이며 자기만의 헤테로토피아인 것이다.
설렘과 불안기대와 두려움의 양가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보여지는 보색의 컬러는
이상적이고 몽환적인 풍경을 조성하며 꿈속의 장면을 연상시킨다.
현실이 기대한 대로 흘러가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 된 순간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여전히 내가 세상을 껴안을 수 있었던 건 나만의 헤테로토피아가 존재하기 때문이 아닐까.
나의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 또한 각자의 삶 속에서 잃어버렸던 순수한 동심과 이상을 되찾고
현실과는 또 다른 가능성을 꿈꾸어 볼 수 있기를 바래본다.

 
하랑갤러리 ㅣ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1F
환기미술관 맞은편, 주차공간이 협소하오니 대중교통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람시간  11 am- 5 pm (매주 월요일 휴관)
 
문의 ㅣ(02)365-9545,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 DM @galleryharang
 
작품 리스트 요청 https://moaform.com/q/Q7ellZ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A Few Days Later 91.0x116.8cm Acrylic on canvas 2024
A Few Days Later 72.7x91.0cm Acrylic on canvas 2023
A Few Days Later 72.7x91cm Acrylic on canvas 2023
My Own Forest 91.0x116.8cm Acrylic on canvas 2025
My Own Forest 72.7x91.0cm Acrylic on canvas 2025

 
 
전시 전경

(L) My Own Forest 60.4×72.5cm Acrylic on canvas 2025 (R) My Own Forest 60.4×72.5cm Acrylic on canvas 2025

 

 

 

 

 

 

 

 

 

 
 
주요 약력

김양미 (b.1971)
 
학력

199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교 도예과 학사
202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석사

 
개인전

2024 깨어난 꿈, 깊은여정 (아트플러스)
2024 A few days later 세번째 이야기 (공구싸롱)
2023 A few days later 두번째 이야기 (더플럭스)
2023 A few days later (아트스페이스 이색)
2015 침묵'silence' (안나 갤러리)
2014 침묵'silence' 뉴욕 첼시 (fine art gallery in N.Y)
2011 개인 부스전 (독일 Kaarst City gallery)

 
그룹전

2024 Alfred University Ceramic Workshop 프로그램 수료
2024 The Art Guild 그룹전 (Long island in N.Y)
2023 소리소문전 (스페이스 다온)
2023 사유의 방 (바움 아트스페이스)
2023 ""(charm) (안젤리 미술관 )
2022 소리소문전 (스페이스 다온)
2022 N.A.H 창립전 (바움 아트스페이스)
2022 공감, 엑티브사이트 (고양 아람누리 갤러리누리)
2021 크리스마스 예술을 품다 (스페이스 다온)
202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청구전 (홍익대학교 문헌관)
2018 트라이앵글 전 (갤러리 인)
2018 도작가전 홍대 도예, 유리과 동문전 (이앙 갤러리)
2011 Korea, Philipines, Germany, Japan Fine Art Festival
(Philippine manil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10 한국 구상회화의 위상전 (인사동)
 
* 모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사진 제공 : 하랑갤러리
* All Images ⓒThe artists, Courtesy of Gallery Harang, Seoul.
 

 

■ 전시 기간
2022.07.21.(목) ~ 2022.07.24.(일) 4일간 

 

■ 전시 장소

COEX

 

■ 작품 문의 (Tel. 02-365-9545, C.P. 010-3944-5352,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galleryharang)

 

■ 하랑갤러리 부스 전시 전경

Copyright ⓒ 2022 Gallery Harang.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실린 글과 사진은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별머핀 <마음 쉼표> 展
7.27(수)- 8.6(토)
11am- 5pm (일, 월 휴관)
하랑갤러리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38길 45 1F, 부암동 환기미술관 앞, 관람시 주차 가능)

작가노트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아이와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 함께 여행을 떠난 어느 날, 물고기를 좋아하는 아이로 인해 '벨루가'를 처음 만나게 된다.

순수한 아이같은 벨루가를 보고 귀여움과 신비한 매력에 매료되었다. 벨루가를 본 순간의 감정을 담아 그림으로 그리다가 슬픈 사연을 접하게 된다.

벨루가는 세계 자연보전연맹이 멸종위기로 지정한 야생 해양포유류라고 한다. 행동 반경이 넓은 벨루가에게 수족관은 가혹한 환경으로 알려져 있어 본래의 행동 생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고통을 겪고 있다. 차가운 러시아 바다 근처에서 살아야 할 벨루가가 좁디좁은 수조 안 높은 온도 물속에서 죽어 나가고 있다는 걸 알게 되고, 바다오염 속에서 고통 받고 있을 생명을 생각하니 마음이 저려 왔다. 보이지 않는 무언가에 갇혀 허덕이며 사회성을 생각하며 미소 짓고 있는 우리들의 자화상이 아닐까.

비록 현실에선 이룰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저 미소답게 살아갈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 희망을 찾아가는 아이콘으로 벨루가를 그린다.

자유롭고 행복을 꿈꾸는 내 친구 벨루가를 보며,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나마 작은 위로와 마음의 평화가 깃들기를...

따뜻한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 작품 문의 (Tel. 02-365-9545, C.P. 010-3944-5352,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galleryharang)

Copyright ⓒ 2022 Gallery Harang.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실린 글과 사진은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전시 기간
2022년 5월 26일(목)~29일(일) 4일간

 

■ 전시 장소

COEX

 

■ 작품 문의 (Tel. 02-365-9545, C.P. 010-3944-5352,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galleryharang)


■ 하랑갤러리 부스 전시 전경

Copyright ⓒ 2022 Gallery Harang.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실린 글과 사진은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다 (2부)

하랑갤러리는 국내 저소득층 아이들의 꿈을 지원하는 자선 전시회를 기획했습니다. 꿈이 있지만, 어려운 환경 속에서 희망을 잃어가는 아이들을 위해 판매 수익 일부를 기부하는 전시입니다. 아이들의 꿈을 위해 따뜻한 마음 내어주신 작가님들과 함께 합니다.

■ 최윤아, 유승근, 김미라, 남재현, 레아정, 담보, 송엘리, 이희정, 김복만, 신연분, 김양희, 조상은, 사하라, 정예린, 노덕희, Yuuko Suzuki

■6월 8일(수)-6월 19일(일) 11시-5시

■종로구 자하문로 38길 45 (부암동 환기미술관 앞, 관람시 주차 가능)

■ 작품 문의 (Tel. 02-365-9545, C.P. 010-3944-5352, galleryharang@gmail.com, 인스타그램:galleryharang)

+ Recent posts